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의 단어: 16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1개 🍷세 글자: 161개 네 글자:215개 다섯 글자:103개 여섯 글자 이상:193개 모든 글자:724개

  • 가장 : (1)한패로 묶은 열 집의 책임자. 일제가 보갑 제도를 만들고 그 말단 조직인 패에 두었다.
  • 각목 : (1)절지동물문 갑각강의 한 목. 머리와 가슴은 유합하여 두흉부를 이룬다. 갑각이 두흉부와 몸 양옆의 아가미를 덮고 있다. 가슴 양쪽에는 다섯 쌍의 다리가 있다. 새우, 게, 가재 따위가 있다.
  • 각뿔 : (1)밑면이 십각형인 각뿔.
  • 각형 : (1)열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 계도 : (1)십계를 그려 정토교의 사상을 표현한 그림.
  • 계명 : (1)하나님이 시나이산에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렸다고 하는 열 가지 계율. 다른 신을 섬기지 말 것, 우상을 섬기지 말 것,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하지 말 것, 안식일을 지킬 것, 어버이를 공경할 것, 살인하지 말 것, 간음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이웃의 재물을 탐내지 말 것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근본 계율이다.
  • 구금 : (1)19세 미만의 아동이나 청소년이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것을 접하는 일을 금지함.
  • 구사 : (1)중국에서, ≪십팔사≫에 ≪원사(元史)≫를 더한 열아홉 가지의 사서(史書).
  • 구외 : (1)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독성이나 효능을 억제ㆍ감소시키는 약의 배합인 상외(相畏) 관계를 이루는 열아홉 가지의 약물.
  • 구체 : (1)향가 형식의 하나. 10개 구(句)로 되어 있다. 향가로서의 형식이 거의 완성된 단계의 형태이다. <혜성가>, <원왕생가>, <원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 규증 : (1)죽은 사람의 넋이 내려서 일어난다는 열 가지 정신병. 기규(氣㾏), 노규(勞㾏), 귀규(鬼㾏), 냉규(冷㾏), 식규(食㾏), 시규(尸㾏), 수규(水㾏), 토규(土㾏), 생인규(生人㾏), 사인규(死人㾏)를 이르는데, 모두 미쳤다가 결국은 죽게 되는 병이다.
  • 나찰 : (1)법화경의 가르침을 받아 지니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열 나찰녀. 처음에는 귀녀(鬼女)였으나 나중에는 신녀(神女)가 되었다. 남파, 비남파, 곡치, 화치, 흑치, 다발, 무염족, 지영락, 고체, 탈일체 중생 정기이다.
  • 냥주 : (1)‘십량주’의 북한어.
  • 네트 : (1)IEEE 802.3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개인용 컴퓨터의 구내 정보 통신망. 피시 본체에 삽입하는 랜 보드, 탭 박스, 탭 케이블의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 니꺼 : (1)‘-습니까’의 방언
  • 단위 : (1)십 또는 열 개를 의미하는 단위.
  • 대가 : (1)중국의 당송 팔대가에다 당나라 문인인 이고(李翺)와 손초(孫樵) 두 사람을 더하여 이르는 말.
  • 대왕 : (1)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동갑 : (1)열 곱.
  • 량주 : (1)한 필에 무게가 열 냥쭝 나가는, 질 좋은 중국 명주.
  • 력교 : (1)‘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부처의 십력(十力)이 있다는 뜻이다.
  • 만이 : (1)산삼을 캐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규범 표기는 ‘심마니’이다.
  • 면체 : (1)열 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 법계 : (1)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나누는 10가지 경지. 미계(迷界)의 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와 오계(悟界)의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이다.
  • 보가 : (1)조선 고종 때, 신재효가 지은 가사의 하나. 열 걸음을 떼어 놓으면서 걸음마다 숫자를 넣어 재미있게 말을 엮었다.
  • 보수 : (1)10진법에서의 ‘기수 보수’.
  • 부기 : (1)중국 당나라 태종 때, 구부기를 확대 제정 한 열 가지 춤곡. 연악(燕樂), 청상기, 서량기, 부남기, 고려기, 구자기, 안국기, 소륵기, 강국기, 고창기 따위를 이른다.
  • 부제 : (1)자동차 등록 번호의 끝수와 날짜의 끝수가 같을 때 자동차를 운행하지 아니하는 제도.
  • 분위 : (1)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10등분으로 매겨진 등급이나 등수.
  • 사도 : (1)우리나라의 지방 행정 구역으로서의 열네 도. 1946년에 기왕의 13도에 새로 도로 승격한 제주특별자치도가 추가되었다.
  • 사처 : (1)예수 십자 행로의 열네 자리.
  • 삼경 : (1)중국의 열세 가지 경서. ≪역경≫, ≪서경≫,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 ≪논어≫, ≪효경≫, ≪이아≫, ≪맹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삼도 : (1)조선 고종 33년(1896)에 지방 제도의 개정에 따라 구획한 열세 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이른다.
  • 삼불 : (1)사람이 죽은 뒤 첫 이렛날부터 삼십삼 기(三十三忌)까지 열세 번의 공양 불사에서 매번 한 분씩 공양하는 불보살. 부동명왕, 석가여래,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 약사여래,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아미타여래, 아축여래, 대일여래, 허공장보살이다.
  • 삼사 : (1)중국의 열세 가지의 사서(史書). 당나라 때 ≪사기≫, ≪한서(漢書)≫,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梁書)≫, ≪진서(陳書)≫, ≪후위서(後魏書)≫, ≪북제서≫, ≪주서(周書)≫, ≪수서(隋書)≫를 이르는 말이다.
  • 삼종 : (1)중국 불교의 열세 종파. 열반종, 지론종(地論宗), 섭론종, 성실종, 비담종, 율종, 삼론종, 정토종, 선종, 천태종, 화엄종, 법상종, 진언종이다.
  • 삼행 : (1)중국 청나라 때, 광주(廣州)에 있던 외국 무역 특허 상인 조합. 청나라는 당시 폐관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광주에 한해 외국과의 무역을 한정적으로 허가하고, 상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상인 단체 13가를 지정하였다.
  • 상시 : (1)중국 후한 말 영제 때에 정권을 잡은 열명의 중상시(中常侍)를 이르는 말. 이들은 모두 환관으로, 황제가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도록 주색에 빠지게 만들고 정권을 농단하였다. 이후 원소와 조조 등이 대궐로 들어가 이들을 비롯한 환관들을 죽였다.
  • 선계 : (1)십선(十善)을 지키도록 한 계율.
  • 성금 : (1)금(金)의 품질을 10등급으로 나누었을 때 첫째 등급의 금이라는 뜻으로, 품질이 가장 좋은 금을 이르는 말.
  • 성은 : (1)품질이 가장 뛰어난 은. 순도가 십성 곧 100%인 것을 이른다.
  • 수형 : (1)가라테에서, 동작이 무거우며 열 사람의 수법을 꿰뚫는 연습 동작.
  • 승법 : (1)‘십진법’의 전 용어.
  • 시다 : (1)합쇼할 자리에 쓰여,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비교적 격의 없는 상대에게 말할 때 쓴다.
  • 시오 : (1)합쇼할 자리에 쓰여, 정중한 명령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신장 : (1)문루(門樓)나 전각의 지붕 네 귀퉁이에 꾸며 앉히는, 열 가지의 잡상. 대당사부(大唐師傅), 손행자(孫行者), 저팔계(猪八戒), 사화상(沙和尙), 마화상(麻和尙), 삼살보살(三殺菩薩), 이구룡(二口龍), 천산갑(穿山甲), 이귀박(二鬼朴), 나토두(裸土頭)를 이른다.
  • 신탕 : (1)갈근, 작약 따위의 열 가지 약재를 넣어 달여 만드는 탕약. 외감(外感)을 다스리는 데 쓴다.
  • 악인 : (1)십악을 저지른 극악인(極惡人).
  • 업도 : (1)십악(十惡)과 십선(十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여시 : (1)법화경에서, 모든 존재의 있는 그대로의 참다운 모습을 열 가지의 여시(如是)로서 파악하려 한 것. 상(相), 성(性), 체(體), 역(力), 작(作), 인(因), 연(緣), 과(果), 보(報), 본말구경(本末究竟)이다.
  • 오부 : (1)발해의 지방 행정 구역 단위. 당시 발해는 전국을 5경(京), 15부(府), 62주(州)로 나누어 다스렸다.
  • 오야 : (1)음력 보름날 밤. 특히 음력 8월의 보름을 이른다.
  • 왕봉 : (1)강원도 금강산 내금강에 있는 산봉우리의 하나. 높이는 1,147미터. ⇒규범 표기는 ‘시왕봉’이다.
  • 우도 : (1)십우(十牛)를 그린 그림.
  • 운맛 : (1)‘쓴맛’의 방언
  • 육강 : (1)운동 경기 따위에서, 예선전에서 승리하여 올라온 열여섯 개의 팀이나 선수. (2)‘십육강전’을 줄여 이르는 말.
  • 육관 : (1)아미타불의 몸과 정토(淨土)의 모습을 마음속으로 떠올려서 보는 열여섯 가지 방법. 일상관(日想觀), 수상관(水想觀), 지상관(地想觀), 보수관(寶樹觀), 보지관(寶池觀), 보루관(寶樓觀), 화좌관(華座觀), 상관(像觀), 진신관(眞身觀), 관음관(觀音觀), 세지관(勢至觀), 보관(普觀), 잡상관(雜想觀), 상배관(上輩觀), 중배관(中輩觀), 하배관(下輩觀)이다.
  • 육국 : (1)중국 진(晉)나라 때에, 오호(五胡)가 세운 열여섯 나라.
  • 육야 : (1)음력으로 매달 열엿샛날.
  • 이객 : (1)중국 송나라의 장경수(張景修)가 열두 가지의 꽃을 손님에게 비유하여 이름을 붙인 것. 곧 모란은 귀객(貴客), 매화는 청객(淸客), 국화는 수객(壽客), 서향(瑞香)은 가객(佳客), 정향(丁香)은 소객(素客), 난(蘭)은 유객(幽客), 연(蓮)은 정객(靜客), 도미(荼蘼)는 아객(雅客), 계수나무는 선객(仙客), 장미는 야객(野客), 말리(茉莉)는 원객(遠客), 작약은 근객(近客)이라 하였는데, 남종화(南宗畫)에서 주요 화제(畫題)로 삼는다.
  • 이관 : (1)인체의 열두 가지 장부를 이르는 말. 심장, 간, 지라, 허파, 콩팥, 심포락(心包絡), 쓸개, 위, 큰창자, 작은창자, 삼초(三焦), 방광이다.
  • 이광 : (1)아미타불이 발하는 빛의 열두 가지 덕(德). 무량광(無量光), 무변광(無邊光), 무애광(無礙光), 무대광(無對光), 염왕광(燄王光), 청정광(淸淨光), 환희광(歡喜光), 지혜광(智慧光), 부단광(不斷光), 난사광(難思光), 무칭광(無稱光), 초일월광(超日月光)이다.
  • 이국 : (1)중국 오대십국과 기(岐)와 연(燕)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이궁 : (1)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年月日時)를 별자리에 배당한 것. 명궁(命宮), 형제궁(兄弟宮), 처첩궁(妻妾宮), 자궁(子宮), 재백궁(財帛宮), 질액궁(疾厄宮), 천이궁(遷移宮), 노복궁(奴僕宮), 관궁(官宮), 전택궁(田宅宮), 복덕궁(福德宮), 부모궁(父母宮)이다. (2)황도대에 있는 열두 별자리. 이에는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가 있다.
  • 이기 : (1)동양화의 산수화법에서 피하여야 할 열두 가지의 규칙. 중국 남송의 요자연(饒自然)이 말한 것이다.
  • 이단 : (1)‘주요 기도문’의 전 용어.
  • 이도 : (1)고려 시대에, 개경(開京)에 있던 열두 사학(私學). 문헌공도(文憲公徒), 홍문공도(弘文公徒), 광헌공도(匡憲公徒), 남산도(南山徒), 서원도(西園徒), 문충공도(文忠公徒), 양신공도(良愼公徒), 정경공도(貞敬公徒), 충평공도(忠平公徒), 정헌공도(貞憲公徒), 서시랑도(徐侍郞徒), 귀산도(龜山徒)를 이른다.
  • 이루 : (1)중국 곤륜산에서 선인(仙人)이 산다는 열두 채의 높은 누각.
  • 이률 : (1)동양 음악에서 열두 음의 이름. 육률(六律)과 육려(六呂)가 있다. ⇒규범 표기는 ‘십이율’이다.
  • 이목 : (1)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이부 : (1)중국 서위 문제(文帝) 때 제정된 관서 총명. 문제 대통(大統) 12년(346)에 상서(尙書) 삼십육 조(三十六曹)를 천관부(天官府)의 선부(膳部)ㆍ계부(計部), 지관부(地官府)의 민부(民部), 춘관부(春官部)의 예부(禮部)ㆍ악부(樂部), 하관부(夏官部)의 이부(吏部)ㆍ병부(兵部)ㆍ가부(駕部), 추관부(秋官部)의 형부(刑部)ㆍ번부(蕃部)ㆍ빈부(賓部), 동관부(冬官部)의 공부(工部) 따위로 바꾸었다.
  • 이분 : (1)충분한 정도를 훨씬 넘는 정도로.
  • 이사 : (1)조선 초기에, 의흥삼군부의 십사에서 확장ㆍ개편한 군제(軍制). (2)구한말에,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통리기무아문 아래 둔 열두 기구. 사대(事大), 교린(交鄰), 군무(軍務), 변정(邊政), 통상(通商), 군물(軍物), 기계(機械), 선함(船艦), 기연(譏沿), 어학(語學), 전선(典選), 이용(利用)이다.
  • 이수 : (1)십이지(十二支)에 따른 열두 종류의 동물.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이다.
  • 이승 : (1)가는 올로 매우 곱게 짠 모시.
  • 이시 : (1)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이르는 시간.
  • 이신 : (1)점을 치는 맹인(盲人)이나 무당이 경을 욀 때 부르는 신장. (2)구나(驅儺)할 때 쥐ㆍ소ㆍ호랑이ㆍ토끼ㆍ용ㆍ뱀ㆍ말ㆍ양ㆍ원숭이ㆍ닭ㆍ개ㆍ돼지 형상의 탈을 쓴 나자(儺者)들.
  • 이월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맨 끝 달. (2)음력으로 한 해의 맨 끝 달.
  • 이율 : (1)동양 음악에서 열두 음의 이름. 육률(六律)과 육려(六呂)가 있다.
  • 이음 : (1)한 옥타브 안에 있는 열두 개의 반음(半音). 반음계를 구성한다.
  • 이입 : (1)일체의 마음의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곳. 인식 주관인 육근(六根)과 인식 대상인 육경(六境)을 말하며, 이 두 가지의 접촉에 따라 모든 생각이 일어난다.
  • 이자 : (1)‘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
  • 이장 : (1)고대 중국의 천자(天子)의 의복에 붙였던 열두 가지의 장식 무늬. 일월(日月), 성신(星辰), 산(山), 용(龍) 따위를 수놓았다.
  • 이주 : (1)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이지 : (1)‘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 그 수효가 열둘인 데서 나왔다. (2)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진 : (1)‘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 그 수효가 열둘인 데서 나왔다.
  • 이차 : (1)풍물놀이에서, 기본이 되는 열두 가락.
  • 이처 : (1)일체의 마음의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곳. 인식 주관인 육근(六根)과 인식 대상인 육경(六境)을 말하며, 이 두 가지의 접촉에 따라 모든 생각이 일어난다.
  • 이천 : (1)인간 세상을 지키는 열두 하늘로 그곳을 지킨다는 신. 동방에 제석천(帝釋天), 남방에 염마천(閻魔天), 서방에 수천(水天), 북방에 비사문천(毘沙門天), 동남방에 화천(火天), 서남방에 나찰천(羅刹天), 서북방에 풍천(風天), 동북방에 대자재천(大自在天), 위에 범천(梵天), 아래에 지천(地天)과 일천(日天), 월천(月天)이 있다.
  • 이초 : (1)조선 시대에, 승보시(陞補試)를 열두 번에 나누어 보이던 일. 음력 6월, 7월, 11월, 12월을 뺀 나머지 여덟 달에 열두 번으로 나누어 보게 하였는데, 나중에는 시월에 한꺼번에 보게 하였다.
  • 인무 : (1)1955년 발란친이 안무하고 뉴욕 시티 발레단이 초연한 헝가리풍 발레 작품. 매우 경쾌한 분위기로, 독무의 기교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일경 : (1)중국의 열한 가지 경서(經書). ≪주역≫, ≪서경≫,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삼전≫, ≪효경≫, ≪이아≫를 이른다.
  • 일기 : (1)조선 시대에, 무과(武科)에서 실시하던 무예 과목. 초기에는 목전(木箭)ㆍ철전(鐵箭)ㆍ편전(片箭)ㆍ기사(騎射)ㆍ기창(騎槍)ㆍ격구(擊毬)의 여섯 과목이었으나, 후에 유엽전(柳葉箭)ㆍ과녁ㆍ조총(鳥銃)ㆍ편추(鞭芻)ㆍ강서(講書)를 첨가하여 열한 과목이 되었다.
  • 일세 : (1)중세 유럽의 교회가 교구민에게 과세 대상의 10분의 1의 비율로 징수하던 세.
  • 일월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열한째 달. (2)음력으로 열한 번째 달.
  • 일제 : (1)열에서 하나를 덜어 냄. (2)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던 일.
  • 일조 : (1)기독교 신자가 수입의 10분의 1을 교회에 바치는 것. (2)중세 유럽의 교회가 교구민에게 과세 대상의 10분의 1의 비율로 징수하던 세. (3)기독교 신자가 수입의 10분의 1을 교회에 바치는 것. (4)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던 일. (5)중세 유럽의 교회가 교구민에게 과세 대상의 10분의 1의 비율로 징수하던 세.
  • 일종 : (1)조선 태종 때에, 우리나라에 있던 불교 종파. 조계종, 총지종, 천태소자종, 천태법사종, 화엄종, 도문종, 자은종, 중도종, 신인종, 남산종, 시흥종을 이른다.
  • 자가 : (1)예전에, 서양에서 죄인을 못 박아 죽이던 십자형의 형틀. (2)기독교도를 상징하는 ‘十’ 자 모양의 표. 예수가 모든 사람의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데서 유래하였으며, 존경ㆍ명예ㆍ희생ㆍ속죄의 표상으로 쓰인다. (3)지붕의 용마루가 ‘十’ 자 모양으로 된 집. 건물의 평면도 ‘十’ 자 모양이 된다. (4)‘十’ 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거리. (5)고려 수도 개경의 중심가 도로. 개경 나성(羅城)의 서문인 선의문(宣義門)과 동문인 숭인문(崇仁門)을 잇는 길이, 나성의 내부를 남북으로 가르면서 남대가에서 남쪽의 회빈문(會賓門)으로 이어지는 길과 만난다.
  • 자각 : (1)지붕의 용마루가 ‘十’ 자 모양으로 된 집. 건물의 평면도 ‘十’ 자 모양이 된다. (2)조선 시대에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동서 양쪽에 있던 망루(望樓). 지금은 동쪽의 동십자각(東十字閣)만 남아 있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십으로 끝나는 단어 (142개) : 잉글리시 파트너십, 모십, 세계 원자력 에너지 파트너십, 사교 클럽형 리더십, 전팔십, 쇼맨십, 결과 지향적 리더십, 챔피언십, 간십, 반오십, 코스닥 오십, 스트론튬 구십, 스폰서십, 실용주의 리더십, 소통 리더십, 오너십, 삼십, 고십, 서울 칠십, 이십, 지시적 리더십, 권위적 리더십, 복십, 전략적 협조 파트너십, 고로롱팔십, 파트너십, 진정성 리더십, 민관 파트너십, 클린 십, 가십 ...
십으로 끝나는 단어는 14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십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 단어는 16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